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장. 주식 차트 분석의 기본(지지, 저항, 돌파)
    주식투자/주식 공부 2021. 1. 21. 01:12

    개요

    주식 투자를 처음 공부할 때 어떤 게 제일 중요하고 많이 쓰일지에 대해서 고민해보았습니다.

    주가는 회사의 가치에 따라가게 되어있지만 그것이 1주일이 걸릴지 1년이 걸릴지 알 수 없는 게 문제입니다.

    따라서 주식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주가가 회사의 가치에 수렴해 나갈때를 찾아야 하는데요. 이런 부분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주식도 결국 시장에서 사고 팔리는 물건이고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르게 됩니다.

    이 공급과 수요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차트입니다.

    차트분석을 통해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지는 지점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즉 주식을 사고 파는 타이밍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차트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3가지가 있습니다.

    지지선, 저항선, 돌파 입니다.

     

    지지선

    위는 LG전자의 월봉차트입니다. 아래의 수평으로 그어져 있는데요. 그 선에 맞추어 다시 주가가 오르는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42800원 부근을 지지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런 지지선은 어떤 기준으로 잡을 수 있을까요?

    지지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로 많이 쓰이는 지점은 전저점, 이동평균선 그리고 심리적 지지선입니다.

    - 전저점

    가장 기본적인 지지선이지만 실제로 매매를 해보시면 알겠지만 전저점을 잘 지지해주는 종목은 많이 없습니다.

    그 이유는 주가가 전저점에 왔다면 이미 사람들이 많이 주식을 들고 있는 주식 가격대(매물대) 아래로 내려갔을 확률이 높고 그에 따라 사람들이 손절을 시작하게 되는, 즉 주식을 사려는 수요보다 팔려는 공급이 더 많이 생기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위 차트는 더블유게임즈의 월봉 차트인데요. 2018년 ~ 2019년까지 전저점을 기준으로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올라간 모습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위 사례를 전저점을 기준으로 지지를 해준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이동평균선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보통 120일, 60일, 20일, 10일, 5일 선등이 많이 쓰입니다.

    이동평균선은 금일 기준 ~일 이전까지의 주가를 평균을 내서 선으로 만든 것입니다.

    매일 변하는 주가를 기준으로 지표를 만들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주식을 들고 있는 매물대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통 단기적인 추세에서 5일 이동평균선을 많이 쓰고 스윙투자에서는 20일선을 많이 사용합니다.

    한번 예를 들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아래는 코스피의 일봉 차트입니다.

     

    20일선을 기준으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주가가 20일 선위에서 계속 올라가다가 조정을 받아 20일선 근처로 내려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20일선을 기준으로 20일 선보다 아래에서 샀던 사람들은 주가가 일시적으로 위로 올라도 더 주가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하여 매도하지 않았던 뚝심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반대로 20일선 위에서 샀다가 20일선을 터치할 때까지 손절을 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지금은 비록 조금 떨어졌지만 조만간 다시 오를 거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매도의 합의점이 20일선이므로 주식을 팔려고 하는 사람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매수하는 사람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매도세보다 매수세가 더 강해져서 지지가 되고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지지를 못하고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그만큼 실망매물이 나와 평소보다 강한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지지선

    심리적 지지선은 심리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여기는 지켜주겠지"라고 생각하는 곳들입니다.

     

    최근에 코스피가 3000포인트를 넘겼는데 역시적으로 코스피가 3000포인트를 넘긴 적이 없습니다.

    코스피가 3000포인트 이하에 있을 때는 심리적으로 돌파 못할 것 같아 저항선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이번같이 강하게 돌파했을 경우에는 심리적 지지선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별 종목으로 봤을 때는 10만 원, 100만 원 등 가격이 딱 떨어지는 구간에서 지지를 해주는 경우를 보실 수가 있습니다.

    아래 차트를 보시면 역사적인 기록인 코스피 3000포인트를 지지해주고 오르는 모습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저항선

    지금까지 지지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저항선은 지지선을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항선은 전고점, 이동평균선, 심리적 저항선이 있습니다.

    - 전고점

    첫 번째로 전고점입니다.

    전고점은 해당 종목에 거의 마지막으로 물려있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해당 위치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본절만 계속 생각할 것이며 본절이 오면 바로 주식을 팔아 버릴 것입니다.

    따라서 주가가 전고점에 가까워질수록 매도세가 강해져 저항선이 되는 것입니다.

     

    아래 차트를 보면 위에 그어져 있는 수평선, 즉 전고점마다 전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 이동평균선

    두 번째로 이동평균선입니다.

    위에 지지선에서 설명을 드렸다시피 이동평균선은 시장 참여자들의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면 이동평균선이 지지선 역할을 하겠지만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가 버린다면 실망매물이 되어버리고 저항선으로 바뀌어 버립니다.

    아래 차트의 빨간 원부분을 보시면 20일 이동평균선(노란색 선)이 저항이 되어 더 이상 못 올라가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저항선

    마지막으로 심리적 저항선입니다.

    심리적 저항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 저 가격대는 넘기 힘들 거 같다고 생각하는 지점입니다.

    가격적으로 10만 원, 100만 원 이렇게 자릿수가 바뀌거나 딱 떨어지는 부분에서 생길 때가 많습니다.

    다만 이런 가격들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적 저항대는 호가단위가 바뀌는 지점인 경우가 많은데 호가단위 변경으로 해당 종목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매수세가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아래 코스피 차트를 보시면 심리적 저항선이 3000포인트 부근에서 약간 주춤하는 모습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돌파

    돌파는 두 가지 종류의 돌파가 있습니다.

    지지선을 아래로 돌파하는 하향 돌파, 저항선을 뚫고 위로 돌파하는 상향 돌파입니다.

    지지 또는 저항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반대방향으로 추세를 전향해야 하는데 이를 깨고 돌파를 하게 된다면 매물대를 돌파했다는 의미입니다.

    그다음 지지 또는 저항선까지 거리가 멀거나 어디까지 주가가 갈지 모르기 때문에 큰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주가가 저항선을 돌파했을 때 매수를 하는 매매기법도 존재합니다.

     

    아래 차트는 저항선인 20일 이동평균선(노란색 선)을 돌파한 모습이고 돌파한 이후에 위로 큰 추세를 그리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SK하이닉스 같은 경우 심리적 저항선인 10만 원대를 돌파한 뒤 큰 상승 추세를 그리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 까지 차트를 분석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지지, 저항, 돌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 포스팅에서는 전고(저)점, 이동평균선 그리고 심리적 선까지 총 3가지의 기준을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3가지 말고 많은 부분이 기준선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주식 매매기법이 위 3가지를 핵심으로 사용하여 적용되는 부분이 많고 기본적인 3가지 원리를 이해하시면 다른 응용적인 부분은 큰 어려움 없이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